디지털 이미지
- 디지털 화면은 수많은 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색상을 가지는 점 하나를 **화소(픽셀)**라고 함
- 각 화소는 RGB(Red, Green, Blue) 세 개의 단일 색의 강도를 각각 조절하여 색상을 표현
래스터(raster) 또는 비트맵(bitmap) 방식의 이미지
- 디지털 화면에 표시될 이미지를 저장하는 방법 중 가장 단순한 방법은, 각 점 하나하나의 색상 값을 저장하는 방식
- 보통 한 점마다 각 색상별로 8비트를 사용하여 0~255 사이의 값(2^8 = 256)으로 해당 색의 감도를 표시
벡터(Vector) 방식의 이미지
- 상대적인 점과 선의 위치를 방정식으로써 기록해 두었다가, 확대 및 축소에 따라 디지털 화면의 각 화소에 어떻게 표현될지를 재계산하는 방식
- 화질의 깨짐이 없음
- 우리가 주로 다루는 파일들 중에는 사진 파일들이 래스터 방식이며, 확대 축소가 자유로이 가능한 글꼴들이 주로 벡터 방식
이미지를 저장하는 방식이 여러 가지인 것처럼, RGB로 표시되는 색상값도 RGB형식으로만 저장될 필요는 없음
HSV(Hue 색상, Saturation 채도, Value 명도)
- 디지털 화면에서 색감을 수치적으로 조작할 때 조금 더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색상
CMYK(Cyan, Magenta, Yellow, Black)
- 인쇄 매체의 경우에는 색의 강도를 높일수록 어두워진다는 특성과, 또한 자주 사용되는 검은색을 표현할 때 각 색을 조합하면 잉크의 낭비가 심하다는 현실적인 이유때문에 사용하는 색상?